해당 게시물들은 이동욱 저자님의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공부하며 기록한 것입니다.
인텔리제이에서 그레이들 자바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build.gradle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은 코드들이 존재한다.
이는 기초적인 설정들만 되어있는 상태이며, 스프링 부트에 필요한 설정을 하나씩 추가해본다. 실제로는 스프링 이니셜라이져(https://start.spring.io/)을 활용하지만, 이를 통해서 진행하지 않고 직접 작성해 본다.
그 이유는 build.gradle안의 코드들이 무슨 일을 하는 지, 그리고 의존성 추가가 필요할 때 어떻게 하는지 모르는 상태로 개발을 할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해당 책에서 스프링 부트와 그레이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면 스프링 이니셜라이져를 사용하고, 아직 어색하다면 하나씩 코드를 작성하면서 역할을 이해하는 것을 추천하므로, 하나씩 코드를 추가해 보겠다.
위의 코드는 프로젝트의 플러그인 의존성 관리를 위한 코드이다.
- ext는 build.gradle에서 사용하는 전역변수를 설정하는 의미
위의 코드는 앞서서 선언했던 플러그인 의존성을 적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코드이다. 이 4개의 플러그인들은 자바와 스프링부트를 사용하기 위한 필수 플러그인들이므로 항상 추가하면 된다.
repositories는 여러 라이브러리들을 어떤 원격 저장소에서 받을지를 결정한다. mavenCentral을 많이 사용하지만, 라이브러리 업로드 난이도 때문에 jcenter도 많이 사용한다.
또한 jcenter에 라이브러리를 업로드하면 mavenCentral에도 업로드될 수 있도록 자동화가 가능하다. 이 책에서는 mavenCental, jcenter 둘 다 등록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dependencies는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의존성을 선언하는 곳이다. 단, 특정 버전을 명시하지 않아야, 위에서 작성한 dependencies의 버전을 따라가게 된다. 이렇게 관리할 경우 버전 관리가 한 곳에 집중되고, 버전 충돌도 일어나지 않아 개발을 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후 그레이들을 누르게 되면 그레이들이 변경된 내용을 반영하며, 우즉의 Gradle 탭을 클릭해 잘 받아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 학습 내용 저장할 github
https://github.com/imgzon3/imgzon3-springboot-test
'Web > 스프링 부트와 aws로 구현하는 웹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Spring 웹 계층 정리 (0) | 2021.07.16 |
---|---|
4. JPA 사용해보기 (0) | 2021.07.14 |
3. 롬복 (0) | 2021.07.14 |
2. TDD와 테스트 코드 (0) | 2021.07.08 |
0.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책 따라 배워보기 (0) | 2021.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