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2

19. python, list.count 함수(문자열에서 특정 값 개수 찾기) list, 혹은 문자열에서 특정 값의 개수를 찾고 싶은 경우, list.count함수를 활용하면 됩니다. 찾는 값이 없다면, 0을 return 합니다. s = "Hello world" print("s.count('l') :", s.count('l')) print("s.count('o') :", s.count('o')) # 출력 # s.count('l') : 3 # s.count('o') : 2 print("s.count('c') :", s.count('c')) # 출력 # s.count('c') : 0 2021. 1. 16.
18. python, set 함수(리스트에서 중복 제거) 파이썬에서 set함수를 통해 list의 고유한 값만 가져올 수 있다. tmp = ['a', 'a', 'b', 'b', 'b', 'c'] print(set(tmp)) # 출력 # {'a', 'b', 'c'} 또한 set을 사용한 경우 indexing을 할수 없으므로, list으로 바꿔준 후 작업한다. tmp = ['a', 'a', 'b', 'b', 'b', 'c'] # print(set(tmp)[0]) # 오류 발생함 print(list(set(tmp))[0]) # 출력 # 'a' 2021. 1. 16.
17. python find 함수(백준 10809번 python) 백준 10809번 문제를 풀던 와중 python find함수에 대해 알게 되어서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위 문제를 풀기 위하여 직접 a~z까지의 문자열 list와 입력받은 문자를 비교하여 값을 출력하는 코드를 사용했습니다. import string asc_list = list(string.ascii_lowercase) s = input() # 직접 비교한 경우 result = '' for alp in asc_list: counter = 0 for idx, tmp in enumerate(s): if alp == tmp: result += str(idx) + ' ' counter = 1 break if counter == 0: result += '-1 ' print(result) 하지만 구글.. 2021. 1. 16.
16. python 아스키 코드 변환 방법 python에서 입력 받은 문자를 아스키 코드 숫자로 변환하거나, 아스키 코드 숫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ord(문자) : 입력 받은 문자를 아스키 코드로 chr(숫자) : 입력 받은 아스키 코드 숫자를 문자로 print(ord('A')) # 출력 # 65 print(chr(65)) # 출력 # A 2021. 1. 16.
(중요)15. numpy numpy는 계산을 위한 라이브러리로서, 다차원 배열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패키지입니다. 다차원 배열을 강력하게 처리할 수 있어, 데이터 처리와 머신 러닝 등 많은 곳에서 사용하게 됩니다. 1. numpy로 바꾸기 위해서는 리스트를 np.array()로 감싸서 사용합니다. a = np.array([1, 2, 3, 4]) print(a) # 출력 # [1, 2, 3, 4] print(a.shape) # 출력 # (4, ) , 크기 나타냄 2. 2차원 배열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 b행렬은 2행 3열의 행렬입니다. b = np.array([[1,2,3],[4,5,6]]) print(b.shape) # 출력 # (2, 3) print(b[0][0]) # 출력 1 3. 특이한 특징을 지니.. 2021. 1. 14.
14. Extra Data Structure - 5, Decimal 파이썬 사용중 소수점 계산의 정확도 문제로 인하여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164999999999999를 소수점 2자리로 반올림할 시, 파이썬에서는 이를 5.16으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5.17에 가까우며, Decimal을 활용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2021. 1. 13.
13. Extra Data Structure - 4, heapq 힙큐(heapq)는 우선순위 큐로서(priority queue), 우선순위를 가지는 아이템을 먼저 뽑을 수 있습니다. ex) a = [] heapq.heappush(a, 1) heapq.heappush(a, 3) heapq.heappush(a, 2) heapq.heappush(a, 4) print(a) print(heapq.heappop(a), heapq.heappop(a), heapq.heappop(a), heapq.heappop(a)) # 출력 값 # [1, 3, 2, 4] # 1 2 3 4 2021. 1. 13.
12. Extra Data Structure - 3, OrderedDict OrderedDict는 이름 그대로 순서가 있는 딕셔너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본인이 dictonary안의 값을 선언한 순서대로 값이 지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키가 삽입되어 있는 순서를 기억하므로 중요하며, 추후 데이터 관리할 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ex) from collections import OrderedDict a = OrderedDict() a['a'] = 1 a['b'] = 2 print(dict(a)) for i in a: print(i) # 출력 값 #{'a': 1, 'b': 2} #a #b 순서가 바뀌지 않으므로, 두 가지의 OrderedDict를 선언한 후 같은 키값, 다른 value를 주어서 활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합니다. 2021. 1. 13.